News

국가 기관의 한국 웹툰계 만화가 자격증 발급 루머.

잠뿌리 | 2017-04-28 09:10

 국가 기관의 한국 웹툰계 만화가 자격증 발급 루머.

△'만화가 자격증'으로 구글 검색을 했을 때 나오는 이미지


최근 페이스북상에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한국 웹툰계에 만화가 자격증을 만든다는 루머가 돌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고용노동부 산하로 산업인력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법인기관이다.

근로자 평생 학습의 지원, 직업능력 개발 실시, 자격검정, 숙련기술장려 사업 및 고용촉진 등에 관한 사업을 수행하는 곳이다.

그런데 지금 그곳에서 만화가 자격증을 만든다는 루머가 떠도는 것이다. 국가 공인 전문 직종화시킨다는 거다.



관련 기사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그게 팩트에 근거한 소문인지, 아니면 단순한 풍문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당최 누구 머릿속에서 나온 것인지 몰라도 만화가 자격증이라는 전대미문의 미친 발상은 헛소문이라고 할지라도 경계해 마땅할 일이다.

창작 분야에서 창작자한테 자격을 부여한다니 그게 가당키나 한 소리인가? 전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일이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다니, 지금은 옥중에 계신 수인번호 503의 창조경제론인가.

작가 자격증이란 말은 업계 종사자, 관계자라면 생각지도 못할 황당한 발상이다. 창작 업계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생각이 아닐까 싶다.

보통, 자격증은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하는 직업군에 속해 존재하는 것인데. 만화가 자격증의 전문적인 기술은 그럼 뭘까? 그림을 잘 그리는 거? 스토리를 잘 짜는 거?

한국 웹툰계에서는 혀를 내두를 정도로 작화 밀도가 높은 그림 잘 그리는 작가들이 있는가 하면, 그림판에 대충 휘갈겨 그린 그림조차 못되는 낙서 가지고도 장르의 허점을 찌르거나 병맛 개그로 승부수를 띄우는 작가들이 있다.

그래서 작화 실력이 만화가 자격에 대한 기준이 되지는 못한다. 중요한 것은 작품 자체의 재미고 플랫폼의 간택을 받는 것은 재미에 더해 화제성과 대중성을 갖춘 작품인데 이것은 어떤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것도, 누가 가르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흥행 여부를 떠나서, 창작의 자유와 작가/작품의 개성과 특색. 작화, 장르의 다양성을 추구해야 된다.

만화가 자격증의 전문적인 기술에 대한 정의와 기준도 모호하거니와, 만화가와 작품을 규격화시켜 전문가의 틀 안에 가둬 놓는 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설령 만화 자격증을 가진다고 해도 그게 웹툰 플랫폼의 선택을 받아 데뷔할 수 있다는 보장이 되지는 못한다.

웹툰 플랫폼에서 만화가 자격증 가진 작가를 반드시 뽑아야 되는 의무조항도 없거니와, 만화가 자격증을 가졌다고 해서 그게 그 작가가 그리는 작품의 재미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만화의 기술을 가르칠 수 있겠지만, 재미는 가르칠 수 없다. 흥행 코드를 분석할 수는 있어도 그걸 적용시킨다고 해서 과연 성공할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그리고 작품 흥행을 위해 작가와 함께 머리를 싸매는 건 플랫폼 편집부나 작가가 계약한 매니지먼트 혹은 창작 스튜디오에서 할 일이지, 거기 어디에 만화가 자격증이 필요할 여지가 있겠는가.

만화가 지망생들의 새로운 희망고문 지옥, 쓸데없는 만화가 자격증 부심, 만화가 자격증의 취득 여부로 작가를 전문가와 비전문가로 나누는 사회적 시선과 편견 등의 악습이 생길 수도 있다.



그렇다면 대체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자격증인 걸까?

필자가 생각하기에는 최소한 만화가 자격증은 현직 웹툰 작가나 웹툰 관련 협회에서 나온 말 같지는 않다.

추측컨대, 한국 웹툰이 현재 잘 나간다고 하니까 빨대 좀 꽂으려는 이들이 작당한 게 아닐까 싶다.

만화가 자격증이 생기면 가장 득보는 곳이 어디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 그곳은 분명 자격증을 발급하고, 자격증 취득 기술을 가르치는 곳이리라.

자격증 장사를 하며 돈을 걷는 나라와 자격증 교육팔이를 하는 학원가다. 웹툰이 흥하니까 웹툰도 교육 과목에 넣어 가르치는데 만화가 자격증까지 생기면 만화가 자격 강습을 할 건 불보듯 뻔한 일로 학원가에 있어 노다지나 마찬가지다.

잊을 만하면 뜨문뜨문 나오는 한국 웹툰 규제 목소리에 만화가 자격증 도입 루머까지 더해지니. 새삼스럽지만 지금 이곳이 헬조선 지옥불반도 맞는 것 같다.

허나, 아무리 그래도 만화가 자격증은 너무 말도 안 되는 발상이라 풍문으로 그쳤으면 좋겠다. 최소한의 기본 상식적 멘탈은 지켜지고 싶다.


웹툰가이드 PICK
Webtoonguide Popular

뉴스 전체

[코미코] 일본 이어 대만에서도 확인된 웹툰 열풍 NHN코미코, 대만 팬미팅 성황이루며 글로벌 웹툰 인기 증명
관리자 | 2017-11-13
[기획기사] 2017 일본 디지털코믹스 애플리케이션 대전쟁 #2 - 지금 일본은 각종 만화 어플리케이션 경쟁이 뜨겁다1
워매니아 | 2017-11-13
[배틀엔터테인먼트] 배틀엔터테인먼트, 텐센트동만 인기 콘텐츠 유통권 계약
관리자 | 2017-11-10
[코미카엔터테인먼트] 나답게 살자! <회사를 관두는 최고의 순간>, 원작 웹툰 VS 캐스팅 배우
관리자 | 2017-11-10
가까운 미래, 한국 웹툰 시장에서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잠뿌리 | 2017-11-10
웹툰 불법 복제. 웹툰판 공포의 앙골모아 대왕
잠뿌리 | 2017-11-10
[코믹스브이] 코믹스브이, 테크노블러드코리아 와 VR웹툰 배포 업무협약 체결
관리자 | 2017-11-09
[만화의 날]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7 오늘의 우리만화' 시상식 개최
관리자 | 2017-11-08
[저스툰] 저스툰, 1회 공모전부터 총 492편으로 작품 응모 몰려, 신생 플랫폼으로는 이례적인 일
관리자 | 2017-11-06
[레진엔터테인먼트] 레진코믹스 <킬링 스토킹>, 이탈리아 ‘루카 만화축제’ 현장에서 해외 팬들의 뜨거운 호응
관리자 | 2017-11-06
[기획기사] 2017 일본 디지털코믹스 애플리케이션 대전쟁 #1 - 디지털 만화유통의 등장
워매니아 | 2017-11-06
웹툰 자유 연재/도전 만화 때의 회차 MG 논란
잠뿌리 | 2017-11-06
#1 - SF만화를 고려하는 작가들에게 추천하는 영화 <블레이드 러너>
김봉석 | 2017-11-06
0. 연재를 시작하며 : 우리에게 필요한 건 ‘맞는 정보’다!
박인하 | 2017-11-06
네이버 포텐업 웹툰 결혼으로 신분상승 2017 고소 사건. 댓글 테러의 끝판왕
잠뿌리 | 2017-11-01
[레진코믹스] 레진코믹스 웹툰 <오디세이>, '2017 SF어워드' 만화부문 대상 수상
관리자 | 2017-10-31
웹툰 작가의 창작지원금. 있어도 받기 어려운 작가 복지.
잠뿌리 | 2017-10-30
[와이랩] 와이랩, ‘슈퍼스트링’ 새로운 라인업 <테러대부활> 발표
관리자 | 2017-10-27
[투믹스] 투믹스, 청춘아레나2017 후원사 참여
관리자 | 2017-10-27
[레진코믹스] 레진코믹스, 한국저작권위원회와 ‘반듯한 웹툰 이용 문화 만들기’ 캠페인 진행
관리자 | 201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